" 산재, 불승인 통보를 받으셨나요?"
모든 근로자는 근무 중 사고 또는 질병에 걸렸다면 업무상 재해로 근로복지공단에 산재를 신청하고 보상을 받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산재를 신청하고 제대로 된 보상을 받지 못할 경우 억울한 상황에 놓일 수 있습니다. 가장 많은 불승인 이유는 '부상이나 질병의 원인이 '근무 중 사고'가 아니기 때문인데요.' 그렇다면 불승인 통보를 받았다면 근로자는 다시 심사청구를 결정이 있음을 안 날로부터 90일 이내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심사청구에서도 승인이 나지 않는다면 재심사 청구는 산재 심사청구에 대한 결정이 있음을 안 날로부터 90일 이내에 제기할 수 있죠. 단, 다시 심사청구를 한다고 해서 무조건 승인을 받을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산재 심사청구의 경우 앞서 불승인이 난 이유가 있기 때문에 반박을 위한 준비를 철저하게 준비해 다시 심사청구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렇다면 불승인 처분을 받았을 때 어떻게 대처하는 것이 가장 좋은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산재 보상을 받기 위해 개인이 홀로 공단에 산재 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 필요한 서류와 산재 보상을 받을 수 있는 준비 자료를 첨부해 신청을 할 수 있는데요. 그러나 제대로 된 보상을 받을 수 있을 거라 기대하고 있다가 불승인 처분을 받았을 때에는 근로복지공단의 결정이 있음을 안 이후부터 90일 이내에 심사청구를 할 수 있습니다. 불승인 처분이 내려지면 1차 심사청구가 가능하고 연이어 불승인 처분을 받는다면 2차 재심사 청구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렇게 진행했음에도 또 불승인이 난 경우라면 행정소송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처음부터 불승인 이후 강하게 행정소송을 진행할 수도 있습니다.
대부분 이 정도 불승인 처분을 받는다면 혼자서 소송을 진행하기보다는 전문가와의 상담을 통해 본인이 불승인 되는 명확한 이유를 파악하고 전략적인 행정소송을 준비해 승인을 받는 방법이 있습니다. 제대로 보상을 받는 방법은 전문가와의 상담을 통해 다시 사건을 진행하는 방법입니다. 불승인의 가장 큰 이유는 근로자로 자신이 입증이 되는지와 사고 또는 질병이 '근무 중'에 발생되었는지를 명확히 입증할 수 있어야 합니다. 그러나 대부분 개인이 홀로 준비하는 과정에서 전문가의 판단이 아닌 개인의 판단으로 소송을 진행하다 보면 정확한 원인에 대한 논리성과 이유를 찾지 못해 불승인을 받을 확률이 높습니다.
산재 불승인으로 인해 다시 심사청구 또는 재심사 청구를 진행하고 계시다면 먼저 한수로 전문가와의 1:1 무료법률상담 진행해보시고 명확한 해결책을 찾아 다시 진행해보시기를 바랍니다. 근로자로서 제대로 된 산재 보상을 받을 수 없어 억울한 상황이라면 더욱 전문가와의 상담을 통해 산재 인정을 받을 수 있는 방법을 찾아보시는 방법이 가장 현명한 선택입니다. 한수로는 교통사고 · 보험 전문으로 그동안 다수의 소송을 통한 승소 경험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산재 관련 소송에서 다수의 승소 경험을 갖고 있는 한수로 전문가와의 상담을 통해 명쾌한 해결책을 찾아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