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사고 시 보상 항목 중 정신적 손해에 대한 위자료의 비중이 큽니다. 때문에 사고 시 위자료 보상을 잘 받는 방법이 중요한데요. 오늘은 보험 약관 기준의 위자료 보상과 법원 위자료 지급 기준을 알아보고 한수로가 진행한 소송 사례 중 위자료 분쟁에서 추가적인 보상을 인정받아 승소한 사례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보험 약관 기준의 위자료는 환자의 상태에 따른 지급 기준이 정해져 있습니다. 사망 시 최대 8천만 원의 보상과 부상 시 최대 200만 원, 장해 시 노동능력상실률에 따른 지급 기준이 다르게 산정되어 보상받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보험 약관 기준의 위자료는 소송 시 법원 기준의 위자료 산정보다는 적을 수밖에 없습니다. 보험사는 약관 기준에 따른 한정된 보상액이 산정되어 있기 때문에 추가적인 보상을 청구할 수 없는 것인데요. 그러므로 심각한 장해 또는 사망의 경우, 보험 보상보다는 소송을 통해 위자료 추가 청구를 통해 위자료를 더 인정받는 경우도 있습니다.
교통사고 사망 시 불법행위 (음주운전, 도주 치사(뺑소니), 난폭운전) 등에 해당되는 사고는 법원 기준 사망 위자료 배상이 1억 원이라면 특별 가중처벌에 의해 2배 가중된 금액으로 위자료를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소송 시 일반 증액 사유와 특별 증액 사유가 있으므로 특별 불법 행위에 의한 교통사고 시 소송을 통한 추가적인 위자료 청구를 통해 인정받으셔야 합니다. 한수로는 이와 같은 사건에서 불법 행위에 의한 교통사고로 사망한 망인의 위자료를 추가 청구하여 인정받았습니다.
갑작스러운 교통사고는 유족에게 가족을 떠나보냈기에 정신적인 충격이 가장 크실 것입니다. 또한 가장의 사고로 앞으로의 생계가 막막해진 가족이라면 정신적 고통이 더욱 크실 수밖에 없죠. 교통사고 전문 한수로는 의뢰인의 상황에 맞는 맞춤 상담과 더불어 철저한 사고 분석을 통해 최대 보상으로 보답하고자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교통사고 사망 또는 심각한 후유 장해 발생 시 고민하지 마시고 한수로 전문가와의 법률적인 상담을 통해 해결책을 찾아보시기를 바랍니다.